낙서장

영조대왕

노신사노신사 2013. 10. 21. 09:05

★ 영조 대왕 ★


영조대왕은 연애소설을 참 좋아하여 가끔 자신의 글에서도 
소설을 인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성품이 근검하여 백성들에게 사치를 금하라는 뜻으로 
금주령을 내리기도 하였지요. 

영조의 어진에 나와 있는 쌍꺼풀지고 길쭉한 눈과 오뚝한 코에 조그마한 
입술은 조선의 남성들이 추구하는 최고의 미인상이었습니다. 

왕실에서는 이런 외모를 천하다 하여 기피하였으나,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가 양반 사대부가 출신이 아닌 무수리 출신에서 
정1품 빈까지 신분상승 한 것을 감안할 때, 숙빈 최씨는 
굉장한 미인이지 않았을까합니다. 

영조가 왕위에 등극하기 전, 연잉군이었던 시절 당시 
달성 서씨 집안의 규수(정성왕후)를 아내로 맞이하여 
첫날밤을 치를 때의 일입니다. 

영조가 아내의 손을 잡고 "손이 참으로 곱다."면서 칭찬을 하자, 
연잉군 부인이 무심코 "궂은일을 해본 적이 없어 그렇다"고 했더니 
영조가 그날로 부인을 소박하며 그 다음부터는 멀리하였습니다. 

아마, 무수리로 고생했던 어머니의 거친 손과 발을 생각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가 간택에서 아버지의 이름이 쓰인
방석에 앉지 않자, 그 이유를 물으니
"자식이 어찌 아버지의 존함이 쓰인 방석을 깔고 앉겠습니까." 
라고 답하였다고 합니다. 

또 "고개 중에는 어떤 고개가 제일 넘기 힘드냐."고 묻자, 
강원도에서 온 규수가 대관령고개라 답하고 경상도에서 온 규수는 
추풍령고개라 답하였다. 

그런데 김규수는 보릿고개라 대답하였다. 

보릿고개라! 겨울 양식이 봄이 되자 다 떨어지고 그렇다고 
햇보리는 아직 나오지 아니한 때 세 끼, 아니 두 끼, 심지어 한 끼를 
채우기가 그 얼마나 난감한가. 

이것이 보릿고개인데 김규수가 넘기 힘든 고개가 바로 보릿고개라 하니 
얼마나 명답인가! 

다음으로 꽃 중에 제일인 꽃을 묻자, 김규수는 목화 꽃이
제일이라 답하였다.
 
이유를 물으니,
"목화 꽃이 다른 꽃들보다 화려하지도 예쁘지도 않지만, 
핀 연후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면에서는 다른 꽃이
따라올 수 없을 정도로 유익한 꽃이니, 바로 목화가 백성의
옷감이 되어서 예절도 지키고 품격도 살리고 
추울 때 몸도 보호하여 주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하였다. 

영조대왕은 이씨조선 임금중에 가장 오래 산 임금이다.

.  

2013년 10월 21일 월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