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정조 8∼9년경의 일이었다. 기나긴 봄날의 해가 서산
에 걸릴 무렵,
서울 남산골에 살고 있었던 현직 승지 이모가 그 날밤 당직
이어서 시간을
맞추어 대궐에 들어가기 위하여 북 다른 재(현재 명동 천
주교당)에 이르니
길가의 다 쓰러져 가는 조그마한 초가집 문 앞에 팔척 장
신인 텁수룩한
노인이 망건도 쓰지 아니한 머리에 정자관(程子冠)만 삐뚜
름하게 얹고서
마치 이승지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이 지나가는 이승지
의 남여(藍與)
앞을 가로막고 두 팔을 들어 길게 읍을 하는 것이었다.
이승지는 난데없이 길가에서 초면 인사가 그것도 몸차림이 나마 제대로
하지 못한 사람이었지만 인사를 받은 이상, 하는 수 없이
남여에서 내려와 답례로 읍을 하였다.
그랬더니 이 노인은 이승지에게 "영감 이 집이 내 집이오.
잠깐 들어와
수어(數語)나 합시다" 하는 것이다.
이승지는 첫째 그 달갑지 아니한 모양도 눈꼴이 틀리고,
둘째로 번(番)을
들 시간도 거의 되었으므로 "지금은 공무로 입직하러 가는
길이니,
이 다음에 필히 심방(尋訪)하겠소" 하며 남여로 올라가려 하니 그 노인은
눈을 크게 뜨고 기세도 당당하게 승지의 길을 막으며 이승
지에게 하는
말이 "아따! 근군(近君)하는 시종신(侍從臣)이라 자세가 대
단하구려.
해가 아직 늦지 아니했는데, 담배 한대 피우고 갈 여가도 없
단 말이오" 한다.
이승지는 이 노인의 책망 비슷한 말투에 하는 수 없이 발길
을 돌려 그 집으로 따라 들어가, 저간을 살펴보니 먼지가
가득한 한간 방이나
윗목에는 서책이 가득하였다. 주인은 다시 승지에게 읍하고
아랫목에 놓인
초방석(草方席)으로 인도하니 승지는 그의 말대로 그 방석
에 앉았다.
그 다음 주인은 아무 말 없이 앉았다가 안문으로 향하여 "손
님이 오셨으니
술상을 내오너라" 고 한다.
잠시 후, 헌 누더기로 간신히 앞을 가린 여자하인이 걸죽한
막걸리 한 뚝배
기와 프르둥둥한 서산 상사발 하나와 김치 한 보시기를 모
떨어진 소반에다 얹어 내다놓으며 손님을 기웃기웃 쳐다 보고 나가는 것이 다. 주인이
그 상을 손님 앞에 놓고 뚝배기에서 상사발에다 막걸리를
따르면서도
아무 말이 없다.
이승지는 당초부터 주인이 하는 짓이 이상하여 들어오기는
하였으나, 마음
이 불안한 것을 간신히 참고 있는 중인데, 그 막걸리 따르는
것을 보고 속 마음으로 크게 놀래어 불안하였다.
'저 막걸리를 먹으라고 하면 어찌한다' 하고 주인의 거동만
주시하고 있어 다.
술을 따라 놓고도 말이 없던 주인은 혼잣말로 "귀한 손님이
이러한 막걸리 를 자실 수야 있나 내나 마시지." 하고는 훌쩍 들어 마시고 는 김치 국을
조금 마신 뒤에 다시 한 사발을 더 부어 놓더니
"이것은 내 차례니 손님의 말 기다릴 것 있나?" 하고는 또
훌쩍 들어 마신다. 그리고 나서는 안문으로 향하여 "술상 내어가거라"
한다.
승지가 살펴보니 뚝배기 술이 원래 두 사발 밖에는 없는 것
이었다.
여자하인이 와서 상을 치운 뒤에 주인은 승지에게 다시 읍
하고 "영감
대단히 미안하오. 오늘 영감이 내 술 낚시에 걸렸소. 바쁘실
텐데 어서 가십시오." 한다.
이승지가 답례를 하며 "도대체 노인은 누구이시며 술 낚시
라는 것은 무슨 말씀이오." 하고 물었다.
승지의 물음에 대하여 주인은 껄껄 한바탕 웃고 나서 "술 낚
시꾼 성명은 알아 무엇하겠소. 내 집이 가난하고 내가 술을 좋아하므로
가속이 간신히 반주 한잔씩은 준비하여 주나 다시는 아니 주고 손님이 오 셨다면 손님
술 대작할 한 잔을 내보내 주는구려. 오늘도 저녁에 술 생각
이 간절하였으 나 얻어먹을 방법이 없고 보니 통정할 수 있는 친구가 혹 지나치면 들어 오라 하여 술을 낚아 낼까? 하고 문 앞에서 기다렸으나 오늘은 아무도 못
만났기에 해는 저물어가고 해서 초조하여지는데, 마침 영
감이 지나가시니
인급계생(人急計生)이라고 내가 영감을 내 집으로 유인
하 여 집에만 들어
오시게 하면 내 계획은 달성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불고체면
하고 인사를 청한 것이나 인사를 아니 받으셨다면 모르겠 거니와 받은 이상에는 초면 친
구를 괄시는 못하는 것이라 꼭 따라 오실 것이 아니오. 나는
이 방에 손님이 있는 것만 보이면 술은 마실 수 있거든요. 아까 계집하인이 기웃기웃한 것은 전에 내가 없는 손님을 있다 하고 술을 낚는 일이 있 었기 때문에 그 뒤로는 손님 술을 내왔다가도 손님이 없으면 도로 가져
가는 구려. 그래서
참말로 손님이 있나 없나 보아 없으면 도로 가져가려고 기
웃거린 것이오
. 오늘의 이 신기 묘산이 적중하였으니 누추한데 오래 앉아
계실 것이 없소. 어서 가시오." 하며 문 밖까지 전송을 하여 주는 것이 었다.
그 집에서 나와 다시 남여를 타고 대궐로 향하는 이승지는
방금 자기가 당한 일이 맹랑하기도 하였거니와 그보다도
술꾼의 술 낚시 질의 이용물
노릇을 한 것이 지극히 분하였다. 그 날밤 승정원에서 이승
지와 함께 번을 들은 승지 남공철이 이승지의 안색이 좋지 못함을 보고 " 오 늘밤에는
영감의 기색이 좋지 못하니 댁에 무슨 연고가 생겼소?"
하자.
이승지는 쓴웃음을 지으며 "집에는 별 일 없지만 오는 길에
서 괴상한 일을 당하였기 마음이 편치 못하오." 하면서
오는 길에 당한 일을 이야기 하였다.
그때에 승정원 내시가 나와 상감마마께옵서 입직한 승지를
부른다고 한다.
승지가 명에 의하여 어전으로 입시하니 정조가 하교하되 "
오늘밤은 하도
심심하기에 시종신들과 한담으로 소견할까? 하여 부른 것
이다." 하며 옥당 들의 주담(奏談)이 끝난 뒤에 두 승지를 바라보시며 "너희 들도 말을 해보아 라." 하시는 것이었다.
그러자 이승지가 "오늘 번들어 오는 길에 당한 일을 말하려
고 했으나 비설 (鄙屑)하여 못 아뢰나이다." 하니
정조는 "군신의 사이는 가인 부자와 같으니 친구에게 말하
려던 것을 임금 에게 어찌 말 못 할 것이냐. 본대로 당한 대로 말하라" 하신다.
이에 이승지는 오늘 입궐하러 들어오다가 북 다른 재에서
당하였던 일을 자세히 아뢰는 도중 "술을 따라 놓고도 권하지 않더라……"
는 구절까지 이르렀을 때,
정조가 빙그레 웃으시면서 "그 정도만 들어도 나는 그 사람
이 누구인가를 짐작하겠다" 고 하신다.
이승지가 그 다음 일을 다 아뢴 뒤에 "신은 그 사람이 실성
한 사람일 것으 로 생각됩니다" 하고 부언하니,
정조는 다시 웃으시며 "그 사람이 실례한 것이 아니라. 네가
몰지식하다
. 너는 문과도 하고 벼슬도 하였으나 사책에 오르지 못하되
그 사람은 지금 방달한 미친 사람 비슷하지만 사책을 빛낼 사람이다.
그 사람이 정녕코 박지원일 것이다" 하시니 이승지는 자기가 고루하여 문 봉으로 일세를
능가하는 연암선생 박지원을 못 알아 본 것이 부끄러워 얼
굴을 붉히며 물러 나왔다.
그 옆에 시립 하였던 남공철이 다시 부복하여 아뢰기를 "전
하의 지금 하교 를 듣자오니 옛말의 지신막여군 (知臣莫如君)이 적실한 말 씀이외다. 성명
지치(聖明之治)에 아래에 그런 사람이 봉초(蓬草)에 매몰되
면 옥의 티같이 성루가 될까 합니다. 이미 통촉하셨으니 유현(遺賢)의 탄이 없으시길 바랍
니다" 하였다.
정조가 남승지에게 이르기를 "내가 유현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박지원의
문장이 섬부(贍富)는 하나 정도로 아니 나가고 권도로 나가
므로, 그 버릇 을 징계하려고 모른 체하였으나, 그 정도로 기한(飢寒)에 빠 진 것을 몰랐 다." 하시고, 즉시 박연암을 불러 초임을 시키시고, 일년 이
내에 안의(安義) 현감을 제수 하셨다.
박연암은 소년시절에 경제문제에 큰 뜻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허용을 아니하니 다시 문장변으로 들어가서 400년여를 내
려오던 고문사체 를 개혁하려 하니 박제가, 이덕무, 김매순 등이 다들 그의 문도라, 이고증
(泥古症)에 걸린 당시 문사들이 연암을 이단이라고까지 지
목하고 정조에게 박지원은 세상을 버려놓은 사람이라고 아뢰어 정조도 연암 을 미워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박연암은 자기의 초지를 그대로 굳게 지키어 흔들리
지 아니하였으며, 그 부인도 남편이 세상에 나서지 못하는 것이 본뜻을 지 키기 위하여
그러는 것이라고 안타깝게 생각하고 바느질품도 팔고 갖은
고초를 당하여 가며 밤에 글 읽을 때 쓸 초와 좋아하는 술은 조금씩 이어주되 술의 거성 인 연암을 만족하게까지 할 재력은 없으므로 매일 한 두 잔 정도의 술도
그 부인이 진심 갈력으로 대어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술 생각이 나기만 하면 연암은 가끔 그러한 행동을 하였던
것이며,
그 날은 공교롭게도 입직할 승지에게 걸리어 큰 출세는 못
하였어도 그토록 좋아하는 술의 해갈만은 면할 수 있는 길이 정조에 의하여 마련된 것이었다 |
'한국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사성의 일화(1) (0) | 2017.04.01 |
---|---|
천자 고종과 농사꾼 (0) | 2013.12.03 |
머슴의 파자(破字) (0) | 2010.12.24 |
사대독자 살인누명 (0) | 2010.10.12 |
목은(牧隱)이색(李穡)의 대구(對句) (0) | 2010.06.26 |